JusticeHui가 PS하는 블로그


  • 홈

  • 소개

  • 아카이브

  • 태그

  • 카테고리

  • 과외 홍보

  • 검색

[이진트리] 이진트리의 구현

작성일 2018-07-15 | In Easy-Algorithm

구조체 포인터를 활용한 구현

전에 Left-Child Right-Sibling 방식을 다룬 적이 있습니다.
이 방법은 각 노드의 차수가 다양할 때 생기는 문제를 해결해주었습니다.
하지만, 이진트리는 차수가 0, 1, 2 중 하나이기 때문에 LCRS 방식을 쓰지 않아도 비교적 간단하게 나타낼 수 있습니다.

더 읽어보기 »

[이진트리] 이진트리의 개념

작성일 2018-07-15 | In Easy-Algorithm

이진트리란?

지난 글에서는 차수가 N인 트리의 대하여 설명했습니다. 이 글을 포함해서 앞으로 몇 개의 글에서는 트리 중에서도 차수가 2 인 이진트리만을 다루겠습니다.
이진 트리는 차수가 2 인 트리입니다. 영어로는 Binary Tree입니다.

더 읽어보기 »

[이진트리] 트리의 표현방법

작성일 2018-07-14 | In Easy-Algorithm

트리는 꽤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더 읽어보기 »

[이진트리] 트리의 개념

작성일 2018-07-14 | In Easy-Algorithm

트리란?

트리(tree)는 이름을 보면 아시겠지만, 나무를 닮은 구조를 가진 자료구조입니다. 나무는 뿌리, 가지, 잎 등으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트리 구조도 실제 나무처럼 뿌리, 가지, 잎을 가지고 있습니다.

더 읽어보기 »

1학년 1학기 기말고사 컴퓨터 시스템 일반 - 교착 상태

작성일 2018-07-07 | In Study
교착상태
  • 두 개 이상의 작업이 다음에 진행되어야 할 작업과 맞물려 서로가 끝나기만을 기다리기 때문에 아무것도 완료하지 못하는 상태
  • 다중프로그래밍 시스템에서, 한 프로세스가 자원을 요청할 때 그 자원을 사용할 수 없으면 프로세스가 대기상태로 들어감
더 읽어보기 »

1학년 1학기 기말고사 컴퓨터 시스템 일반 - 가상 기억 장치

작성일 2018-07-07 | In Study
가상 기억 장치
  • 가상기억장치 : 현재 사용중인 프로그램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에 유지하고 나머지는 보조기억장치에 유지
  • 사용자가 보조기억장치의 용량만큼 기억장소를 갖고 있는 것처럼 프로그램 작성 가능
  • 사용자 프로그램이 물리 메모리보다 커져도 됨
더 읽어보기 »

1학년 1학기 기말고사 컴퓨터 시스템 일반 - 주기억 장치

작성일 2018-07-07 | In Study
주기억장치 관리?
  • 기억장치의 효율성과 성능 향상을 위해 어떤 프로세스를 어디에 적재할 지를 정하는 것
더 읽어보기 »

1학년 1학기 기말 컴퓨터 구조

작성일 2018-07-02 | In Study
컴퓨터의 개념
  • 계산하는 기계 -> 데이터 처리
  • 컴퓨터의 특성
    • 신속성 - 입출력&연산 속도가 빨라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신속하게 처리
    • 대용량성 - 많은 양의 데이터를 기억하고 처리
    • 신뢰성 - 컴퓨터의 처리 결과 신뢰 가능
    • 정확성 - 오류/오차 최소화 & 처리 결과 정확
    • 범용성 - 다양한 업무 처리 가능
더 읽어보기 »

부분 집합 구하기

작성일 2018-06-24 | In Other-Algorithm

이 글에서는 부분 집합을 구하는 2가지 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입니다.

더 읽어보기 »

OBB충돌

작성일 2018-06-23 | In Other-Algorithm

OBB충돌 체크 알고리즘 설명입니다.
이 설명은 벡터를 다룹니다. 벡터와 벡터의 내적을 모르면 이해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더 읽어보기 »
1 … 88 89 90 … 95
github chart
JusticeHui

JusticeHui

948 포스트
37 카테고리
133 태그
RSS
알고리즘 과외 소개해 드립니다.
© 2025 JusticeHui
Powered by Jekyll
Theme - NexT.M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