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sticeHui가 PS하는 블로그


  • 홈

  • 소개

  • 아카이브

  • 태그

  • 카테고리

  • 과외 홍보

  • 검색

[그래프] 그래프의 표현방법

작성일 2018-03-21 | In Easy-Algorithm

그래프의 두 가지 표현방법

그래프의 표현 방법은 대부분 2가지 중 하나를 사용하는데, 하나는 인접 행렬, 다른 하나는 인접 리스트입니다.
인접 행렬은 말 그대로 행렬(2차원 배열)로 표현하고, 인접 리스트는 연결 리스트(Linked List) 혹은 동적 배열(ex. C++ vector 컨테이너)를 사용해 구현합니다.

더 읽어보기 »

[그래프] 그래프란?

작성일 2018-03-19 | In Easy-Algorithm

그래프란?


이런 형태로 생긴 것을 그래프라고 합니다.
동그라미 부분을 Vertex(혹은 Node, 정점)라 부르고 정점끼리 이은 선분을 Edge(간선)라고 부릅니다.

더 읽어보기 »

[탐색] 이진 탐색(Binary Search)

작성일 2018-03-18 | In Easy-Algorithm

이진탐색이란?

순차 탐색은 배열의 길이가 n이라면, 최대 n번 계산해야 해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 다룰 이진탐색은 특정 조건만 만족하면 순차 탐색보다 훨씬 더 빠르게 해를 구할 수 있습니다.

더 읽어보기 »

[탐색] 선형 탐색(Linear Search)

작성일 2018-03-17 | In Easy-Algorithm

서론

이번 글에서는 선형 탐색의 여러 방법을 소개합니다.
먼저, 기본적인 순차 탐색(Sequential Search)을 간단히 설명하고, 자기 구성 순차 탐색(Self-Organizing Sequential Search)을 설명하겠습니다.
자기 구성 순차 탐색 에서는 전진 이동법(Move to Front Method)과 전위법(Transpose Method)을 소개할 것입니다.

더 읽어보기 »

[시간복잡도] 재귀 알고리즘의 시간복잡도

작성일 2018-03-11 | In Easy-Algorithm

서론

반복문으로 이루어진 알고리즘은 시간 복잡도를 구하기가 비교적 쉽습니다.
그러면, 재귀 호출로 이루어진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는 어떻게 구할까요?
이것이 이 글의 주제입니다.

더 읽어보기 »

[시간복잡도] 점근 표기법 - 2

작성일 2018-03-10 | In Easy-Algorithm

빅-오 표기법

빅-오 표기법은 최악의 경우를 나타냅니다. 다시 말해 아무리 열악한 환경일지라도 빅-오 표기법으로 표현한 수준에서 종료됩니다.

더 읽어보기 »

[시간복잡도] 점근 표기법 - 1

작성일 2018-03-09 | In Easy-Algorithm

점근 표기법에서 ‘점근’ 은 한자 뜻(漸近 차츰 점, 가까울 근)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수행 시간을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더 읽어보기 »

[시간복잡도] 알고리즘 성능에 대하여

작성일 2018-03-04 | In Easy-Algorithm

알고리즘의 성능을 판단하는 척도

알고리즘의 우수함을 가리는 대표적인 기준을 나열해보자면,

  1. 정확성 (얼마나 정확한가)
  2. 작업량 (얼마나 적은 연산을 필요로 하는가)
  3. 메모리 사용량 (얼마나 적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가)
  4. 단순성 (얼마나 단순한가)
  5. 최적성 (더 이상의 개선할 여지가 없을 만큼 최적화가 잘 되어 있는가)
더 읽어보기 »
1 … 94 95
github chart
JusticeHui

JusticeHui

948 포스트
37 카테고리
133 태그
RSS
알고리즘 과외 소개해 드립니다.
© 2025 JusticeHui
Powered by Jekyll
Theme - NexT.Muse